프로그래머스

[2단계] H-Index_JS

chsua 2023. 2. 1. 21:11

문제 설명

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1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 n편 중, 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 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 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
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 

제한사항
  •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,000편 이하입니다.
  •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,000회 이하입니다.

 


1. h번 인용된 논문이 h번 이상일때 h의 최대값, 이를 표로 정리하면

input 3, 0, 6, 1, 5
h 0 1 2 3 4 5 6
h번 이상 인용된
논문갯수
6 5 5 3 2 2 1

2. 따라서 

   1) 각 인용된 논문갯수의 누적합을 구한다.

   2) 자기자신보다 인용횟수가 적어지는 순간을 구한다.

   3) 그 순간보다 하나 작은 값이 최대값이다.

3. 기존 자료를 찾거나 찾은 후 수정하는 과정이 많아 array보다 map이 적합하다고 판단

 

코드

function solution(citations) {
    const times = new Map();
    citations.forEach(x => {
        for (let i = 0; i <= x; i++) {
            if (times.has(i)) times.set(i, times.get(i) + 1)
            else times.set(i, 1);
        }
    });

    let result = 0;
    while (result <= Math.max(...citations)) {
        if (times.get(result) >= result) result++;
        else break;
    }

    return result - 1;
}

'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단계] 괄호 회전하기_JS  (0) 2023.02.02
[2단계] 구명보트_JS  (1) 2023.01.31
[2단계] 예상 대진표_JS  (0) 2023.01.26
[2단계] 피보나치 수_JS  (0) 2023.01.26
[2단계] 영어 끝말잇기  (0) 2022.11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