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++ 함수이다.
int fibonacci(int n) {
if (n == 0) {
printf("0");
return 0;
} else if (n == 1) {
printf("1");
return 1;
} else {
return fibonacci(n‐1) + fibonacci(n‐2);
}
}
fibonacci(3)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.
- fibonacci(3)은 fibonacci(2)와 fibonacci(1) (첫 번째 호출)을 호출한다.
- fibonacci(2)는 fibonacci(1) (두 번째 호출)과 fibonacci(0)을 호출한다.
-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(1)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0)은 0을 출력하고, 0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2)는 fibonacci(1)과 fibonacci(0)의 결과를 얻고, 1을 리턴한다.
-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(1)은 1을 출력하고, 1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3)은 fibonacci(2)와 fibonacci(1)의 결과를 얻고, 2를 리턴한다.
1은 2번 출력되고, 0은 1번 출력된다. N이 주어졌을 때, fibonacci(N)을 호출했을 때,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
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N이 주어진다.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
내 답안:
const fs = require("fs");
const filePath = process.platform === "linux" ? "/dev/stdin" : "input.txt";
let input = fs.readFileSync(filePath).toString().trim().split("\\n").map(Number) ;
input.shift() ;
function pibo(x, ans, arr){
if ( arr[x] != undefined ) return arr[x] ;
if ( x == 1 ) return ans[1] ;
if ( x == 0 ) return ans[0] ;
let a = pibo(x-1,ans,arr)[0] + pibo(x-2,ans,arr)[0] ;
let b = pibo(x-1,ans,arr)[1] + pibo(x-2,ans,arr)[1] ;
return arr[x] = [a, b] ;
}
input.forEach(x => {
let ans = [0, 0] ;
let res = [[1,0],[0,1]] ;
pibo(x, ans, res)
console.log(res[x].join(" "))
})
>> dp해보기
다른사람 코드 참고한 답안:
const fs = require("fs");
const filePath = process.platform === "linux" ? "/dev/stdin" : "input.txt";
let input = fs.readFileSync(filePath).toString().trim().split("\\n").map(Number) ;
input.shift() ;
function pibo(x, ans, arr){
if ( arr[x] != undefined ) return arr[x] ;
if ( x == 1 ) return ans[1] ;
if ( x == 0 ) return ans[0] ;
let a = pibo(x-1,ans,arr)[0] + pibo(x-2,ans,arr)[0] ;
let b = pibo(x-1,ans,arr)[1] + pibo(x-2,ans,arr)[1] ;
return arr[x] = [a, b] ;
}
let max = Math.max(...input) ;
let a = [0, 0] ;
let res = [[1,0],[0,1]] ;
pibo(max, a, res)
let ans = "" ;
input.forEach(x => ans += `${res[x].join(" ")}\\n`) ;
console.log(ans.trim()) ;
>> 최댓값을 구하고 함수를 돌리면 계속 반복할 필요가 없음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실버] 바이러스 (2606번)_JS (0) | 2022.12.19 |
---|---|
[실버] 1로 만들기 (1563번)_JS (0) | 2022.11.28 |
[실버] 듣보잡 (1764번)_JS (0) | 2022.11.28 |
[실버]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(1620번)_JS (0) | 2022.11.28 |
[실버] 덱 (10866번)_JS (0) | 2022.11.28 |